본문 바로가기
Growth Hacking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1 - ICE score

by gh메이 2024. 4. 30.

 

 

서비스를 만들고 운영해 나가다보면 많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또 어떤 문제에 의해서 내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는지도 궁금합니다.

그럴때 우리는 프로덕트에 다른기능도 추가해보고 변경도 해보면서 유저들의 반응을 살핍니다.

 

문제해결을 위해 무수히 많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회사의 자원은 한정적이므로 그 아이디어를 모두 실행해볼 수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 어떤 기능을 추가해야할지, 어떤 기능을 변경해야할지 그 기준을 정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러 아이디어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해주고, 아이디어를 정리해주는 ICE score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 

 

 

ICE Score
Impact : 기능을 구현했을 시, 얼마나 큰 영향력이 있는가?
Confidence : 이 기능의 구현에 대해 얼마나 확신하는가?
Ease : 기능 구현을 위해 얼만큼의 리소스가 드는가?

 

Impact, Confidence, Ease 3가지 기준으로 점수를 매겨서 기능 사이의 우선순위를 매길 때 사용합니다. 각 요소는 1~10점이며, 이를 평균내 ICE 점수를 구합니다. ICE 점수가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Impact

해당 아이디어가 얼마나 이 서비스에 영향을 줄것인가 생각해본다.

전환율을 높이는게 제일 중요하게 생각해본다.

0점은 아무 반응이 없을것이다, 10점은 이 아이디어가 실행이 되면 유저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을것이다. 라는 기준으로 점수를 준다.

 

Confidence

 

이 아이디어를 실행해서 성공할 활률이 얼마나 될지 생각해본다.

사실 이 점수는 직관에 의한 경우가 많다. 경험자들의 과거 경험이나 지식에 의존해서 점수를 정하는 경우가 많다.

최대한 객관적으로 점수가 도출될 수 있도록, 비슷한 업체들의 서비스를 벤치마킹하여 우리 브랜드와 연결하거나, 최대한 데이터 중심으로 결정한다. 

0점은 아무런 근거가 없다, 10점은 무조건 잘 될거라는 확신이 있다.

 

Ease

이 아이디어를 실행하려면 리소스가 얼마나 드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한다.

가장 구체적으로 고민해 볼 수 있는 항목이다.
아이디어 실행을 위해 투입되는 인원이나, 구현을 위한 시간을 고려해본다.

워킹데이는 기업에 따라 다르므로 판단기준은 다 다르다.

0점은 실행하기 너무 어렵고 오래걸리는 아이디어, 10점은 오늘 바로 실행하고 인력이 투입이 되지 않고서도 이루어낼수있는 아이디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아이디어를 내고, ICE 스코어에 의해 아이디어 우선순위를 정하고 실행하는데서 끝나면 안된다.

스코어가 높은 아이디어의 결과를 제대로 분석해야 점점 더 정확한 스코어를 낼 수 있다. 

 

초기 스타트업의 경우 자원은 부족하고, 문제는 개선해야하는 와중에 ICE 스코어를 정식으로 하다보면 이 과정 자체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ICE 스코어도 문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목적이 있는 방법이므로, 과연 스코어가 높게 책정된 아이디어가 정말 우리 서비스에 맞는건지 같이 이야기해보고 타당성을 판단하는 과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문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방법 5Ways